loading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일한 만큼 받는 게 맞을까? 아르바이트 급여 계산, 직원 급여 일할 계산, 시급 계산기

by EcoZip's mid2 Studio 2025. 6. 28.

일한 만큼 받는 게 맞을까? 아르바이트 급여 계산법, 직원일할 급여계산

"10일 일하고 급여가 80만원 이면 잘 받은 것인가?"

단기 아르바이트 급여, 제대로 받은 게 맞는지 의문이 드신 적 있으신가요?

고정 월급이라도 일할계산, 주휴수당, 근무일수에 따라 실제 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
지금부터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급여 계산의 모든 것을 정리해드립니다.

📌 급여계산기 바로가기 →

[※누구나 간편하게 스스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.]

단기 근로자의 급여 계산, 왜 어려운가?

📉 계약서에 월급 240만 원이라 적혀 있어도, 10일만 일했다면 일한 만큼만 계산됩니다.

게다가 주휴수당, 수습감액, 세금공제 등 추가 변수가 많아 실수령액은 더 적어질 수 있죠.

그래서 단기 근무자의 급여 계산은 일용직보다도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.

일할계산 원칙, 어디까지 적용되나?

📘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1개월 미만 근무자는 월급도 일할계산이 원칙입니다.

계산식: 월급 ÷ 유급근로일수 × 실제 근무일수

📌 유급근로일수란? 평일 기준 출근일수 + 주휴일 포함 → 보통 20~23일

예: 월급 240만 원, 유급근로일수 23일 → 일당 약 104,347원

📌 급여계산기 바로가기 →

[※누구나 간편하게 스스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.]

주휴수당, 놓치면 안 되는 조건

💡 주휴수당주 15시간 이상 + 개근 시에만 지급됩니다.

📊 조건별 정리:

  • ✅ 주 15시간 이상 + 결근 없음 → 지급
  • ❌ 주 15시간 미만 또는 결근 있음 → 미지급

⛔ 하루라도 빠지거나 주 15시간 미만이면 받을 수 없습니다.

실제 계산 사례로 보는 월급 산정법

📌 급여계산기 바로가기 →

[※누구나 간편하게 스스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.]

📌 사례 ① 월급제 240만 원, 4월 중 5일 근무 (유급근로일수 23일):

→ 일당 = 2,400,000 ÷ 23 = 약 104,347원

→ 총지급 = 104,347 × 5 = 521,735원


📌 사례 ② 주 3일, 하루 5시간씩 2주 (총 30시간), 시급 9,860원:

→ 주 15시간 미만 → 주휴수당 없음

→ 9,860 × 30 = 295,800원

꼭 체크해야 할 급여 명세서 항목

📌 급여계산기 바로가기 →

[※누구나 간편하게 스스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.]

📄 2021년 11월부터 급여 명세서 제공은 의무입니다. 아래 항목이 포함돼야 합니다:

  • ✅ 근무시간 및 일수
  • ✅ 시급/월급 기준
  • ✅ 공제 항목 (4대 보험, 소득세 등)
  • ✅ 주휴수당 포함 여부
  • ✅ 총지급액 및 실수령액

💡 받지 못했다면 요구 가능하며, 응답 없을 시 진정 가능합니다.

💡 결론: 월급제라도, 일할계산이 기본

📌 급여계산기 바로가기 →

[※누구나 간편하게 스스로 급여를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.]

📌 단기 근로자의 경우 "월급제 계약"이라도 실수령액은 일할계산 + 조건별 주휴로 책정됩니다.

실망하지 않기 위해선 근무일수, 주휴 조건, 세금공제까지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.

지금 바로 본인의 급여를 계산해보세요!

반응형